기업블로그에는 별 관심이 없었다. 기업블로그의 성공사례를 별로 보지 못하였기 때문이다. 또한 블로그가 기업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지도 미지수였기 때문이다. 기업블로그의 목적은 누가 생각해도 기업의 이익이기 때문이다. 기업의 이익을 위해 광고를 하고, 그 광고의 수단으로 블로그를 선택했을 때,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또 다른 광고수단에 넘어가게 될 것인가 의문의 들 뿐이다.
얼마전 재미있는 글을 보게 되었다. 스윙피플님의 블로그에서 본 글인데 한 블로거가 블로그얌에서 실시한 PPP라는 광고에서 돈을 받지 않겠다고 한 것이다. 여기서 PPP라는 것은 제품을 받은 후 그에 대해 리뷰를 적은 후 원고료를 받는 것을 말한다. 블로그수익의 하나이기도 하다. 그 블로거는 funlog를 운영하고 있는 메이리님이다.
나 또한 프레스블로그나 파워블로그등을 통해 이런 광고를 자주 했었다. 프레스블로그에서 간담회에도 다녀왔었다. 역시 블로거들의 관심사는 상업화였다. 블로그가 상업화가 되는 것을 우려한 것이다. 처음에 베너가 그랬었고, 그 다음엔 홈페이지가 그랬었고, 미니홈피도 그렇게 되었다. 그리고 이제 블로그에까지 상업화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. 블로그수익이 나쁜 것이 아니다. 오히려 블로그수익 방법이 더 많아지고, 그 시장이 더 커져야 한다. 하지만 상업화는 위험하다. 블로그를 한낯 돈버는 수단으로만 인식되어지게 한다면 블로그의 영향력도 적어지기 때문이다.
프레스블로그의 경우는 포스팅이 광고라는 사실이 알려지면 안된다는 조건이 있다는 것이다. 광고가 아닌 것 같은 광고를 해야 하는 것이 바로 가장 큰 문제점인 것이다. 미국에서도 이런 형식의 수익구조가 있었지만 곧 사라지고 말았다. 우리나라에서도 프레스블로그만이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. 프레스블로그의 입장도
얼마전 재미있는 글을 보게 되었다. 스윙피플님의 블로그에서 본 글인데 한 블로거가 블로그얌에서 실시한 PPP라는 광고에서 돈을 받지 않겠다고 한 것이다. 여기서 PPP라는 것은 제품을 받은 후 그에 대해 리뷰를 적은 후 원고료를 받는 것을 말한다. 블로그수익의 하나이기도 하다. 그 블로거는 funlog를 운영하고 있는 메이리님이다.
나 또한 프레스블로그나 파워블로그등을 통해 이런 광고를 자주 했었다. 프레스블로그에서 간담회에도 다녀왔었다. 역시 블로거들의 관심사는 상업화였다. 블로그가 상업화가 되는 것을 우려한 것이다. 처음에 베너가 그랬었고, 그 다음엔 홈페이지가 그랬었고, 미니홈피도 그렇게 되었다. 그리고 이제 블로그에까지 상업화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. 블로그수익이 나쁜 것이 아니다. 오히려 블로그수익 방법이 더 많아지고, 그 시장이 더 커져야 한다. 하지만 상업화는 위험하다. 블로그를 한낯 돈버는 수단으로만 인식되어지게 한다면 블로그의 영향력도 적어지기 때문이다.
프레스블로그의 경우는 포스팅이 광고라는 사실이 알려지면 안된다는 조건이 있다는 것이다. 광고가 아닌 것 같은 광고를 해야 하는 것이 바로 가장 큰 문제점인 것이다. 미국에서도 이런 형식의 수익구조가 있었지만 곧 사라지고 말았다. 우리나라에서도 프레스블로그만이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. 프레스블로그의 입장도